BIZ

강남 아파트 ‘줍줍’ 열풍.."거래량 3.6배 급등"

2025-04-07 15:07
 서울 강남 4구(잠실·삼성·대치·청담) 지역의 아파트 거래량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시장이 규제 완화에 즉각 반응하며 단기간에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나, 다시 규제가 재도입되면서 거래가 위축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7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의 분석에 따르면, 서울 잠실·삼성·대치·청담 지역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일시적으로 해제된 2월 13일부터 3월 23일까지 39일간 총 353건의 아파트 매매 거래가 이루어졌다. 이는 해제 이전 같은 기간(99건) 대비 3.6배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량도 4559건에서 9665건으로 증가해 약 2.1배의 상승률을 보였다. 다만, 실거래 신고 기한이 아직 남아 있는 만큼, 최종적인 거래량 집계는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거래량 증가와 함께 신고가 거래도 대폭 늘었다. 규제 해제 이전 39일 동안 잠실·삼성·대치·청담 지역에서 신고가로 거래된 아파트는 13건에 불과했지만, 해제 이후에는 84건으로 급증하며 약 6.5배 증가했다. 서울 전체적으로도 신고가 거래는 362건에서 839건으로 2.3배 늘었다. 이는 규제 해제로 인해 단기간에 매수 심리가 살아났음을 의미한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대상 지역 중에서는 잠실동의 거래량이 가장 많았다. 해제 기간 동안 잠실동에서는 총 135건의 아파트가 거래됐으며, 이어 삼성동(86건), 대치동(71건), 청담동(61건) 순으로 거래량이 많았다. 특히, 잠실 3대장으로 불리는 리센츠(38건), 엘스(34건), 트리지움(30건) 단지가 높은 거래량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삼성동에서는 힐스테이트1단지(16건), 대치동에서는 대치현대(10건), 청담동에서는 청담자이(11건)가 가장 활발하게 거래된 아파트로 나타났다.  

 

해제 이후 거래량은 일정 기간 급증한 후 점차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해제 직후 첫 주에는 122건의 거래가 이루어지며 가장 많은 거래량을 기록했으나, 이후 66건, 57건, 47건, 26건으로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해제 초기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이 상승했고, 이에 따라 매도·매수자 간의 가격 차이가 벌어지면서 거래량이 줄어든 것으로 해석된다. 초기에는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며 적극적인 매수세가 형성됐지만, 이후 매도자들이 가격을 높게 책정하면서 매수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3월 23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이 다시 확대 지정됨에 따라, 향후 단기적인 거래 위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정부의 규제가 다시 강화되면서 매매 시장뿐만 아니라 수도권 부동산 시장 전반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경매시장에서는 여전히 상급지에 대한 수요가 높게 유지되고 있다. 토지거래허가 대상 지역에 포함된 매물들이 경매로 나오면 투자자들의 관심이 더욱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향후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직방 빅데이터랩 김은선 랩장은 “단기적으로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상급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며 “이번 조정이 단기적인 숨 고르기에 그칠지, 아니면 추세적인 전환으로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다시 확대되면서 매수자들이 신중한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높지만, 고급 주거지를 중심으로 한 거래는 꾸준히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최근의 거래량 증가를 단기적인 반짝 현상으로 볼지, 아니면 장기적인 상승세로 연결될지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정부의 규제 변화가 단기적으로 시장의 거래량과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다시 한번 확인되면서, 앞으로의 정책 변화와 이에 따른 시장 반응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